스몰캡 뉴스
“현대건설, 3Q 기대치 웃돌아…목표가 높여”-한투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한국투자증권은 23일 현대건설에 대해 3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웃돌 전망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4만8000원에서 5만3000원으로 10.4% 올렸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강경태 연구원은 “올해와 내년 순이익 추정치를 상향했다”며 “주주가치 제고 정책을 반영해 현금 배당액과 재투자 금액을 조정하면서 자기자본이익률(ROE)을 8.5%로 기존 대비 0.4%p 높였다”고 목표주가 상향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올해 착공한 주택 수가 부족해 건축·주택 부문 외형은 내년부터 정체 구간에 접어들지만, 현대엔지니어링 위주로 발생하는 그룹사 공사 매출이 현대건설에도 생겨나면서 매출 증가세가 매년 이어질 것”이라고 봤다.
현대건설의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7조62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3% 늘어나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9.7% 증가한 2455억원으로 전망된다. 시장 기대치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1.3%, 12.9% 상회하는 실적이다.
3분기 잠정 실적이 시장 기대를 훌쩍 뛰어넘은 것은 연결 회사 매출액 영향 덕분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그룹사 공사인 국내 외 전기차 공장의 공정이 빨라지면서 현대엔지니어링 매출액이 2분기를 뛰어넘었고, 3, 4차 공사가 맞물리기 시작한 송도랜드마크시티 유한회사 매출액이 규모를 키웠다”면서 “매출액이 늘어난 만큼 영업이익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현대건설의 주주가치 제고 정책도 주목했다. 그는 “보통주 결산 배당금 하단을 주당 600원으로 명시하고, 배당기준일을 주주총회에서 배당금이 결정된 이후로 변경했다”며 “배당 예측 가능성을 높여 신규 주주들의 투자 판단을 도우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연내 해외 대형 플랜트 공사 추가 수주 모멘텀이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강경태 연구원은 “올해와 내년 순이익 추정치를 상향했다”며 “주주가치 제고 정책을 반영해 현금 배당액과 재투자 금액을 조정하면서 자기자본이익률(ROE)을 8.5%로 기존 대비 0.4%p 높였다”고 목표주가 상향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올해 착공한 주택 수가 부족해 건축·주택 부문 외형은 내년부터 정체 구간에 접어들지만, 현대엔지니어링 위주로 발생하는 그룹사 공사 매출이 현대건설에도 생겨나면서 매출 증가세가 매년 이어질 것”이라고 봤다.
현대건설의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7조62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3% 늘어나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9.7% 증가한 2455억원으로 전망된다. 시장 기대치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1.3%, 12.9% 상회하는 실적이다.
3분기 잠정 실적이 시장 기대를 훌쩍 뛰어넘은 것은 연결 회사 매출액 영향 덕분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그룹사 공사인 국내 외 전기차 공장의 공정이 빨라지면서 현대엔지니어링 매출액이 2분기를 뛰어넘었고, 3, 4차 공사가 맞물리기 시작한 송도랜드마크시티 유한회사 매출액이 규모를 키웠다”면서 “매출액이 늘어난 만큼 영업이익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현대건설의 주주가치 제고 정책도 주목했다. 그는 “보통주 결산 배당금 하단을 주당 600원으로 명시하고, 배당기준일을 주주총회에서 배당금이 결정된 이후로 변경했다”며 “배당 예측 가능성을 높여 신규 주주들의 투자 판단을 도우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연내 해외 대형 플랜트 공사 추가 수주 모멘텀이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74,556 | 326,703 | 296,514 |
영업이익 | 2,137 | -12,634 | 7,854 |
영업이익률 | 2.9% | -3.9% | 2.6% |
순이익 | 1,204 | -1,687 | 5,359 |
순이익률 | 1.6% | -0.5% | 1.8%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국내 시공능력평가 2위 종합건설업체로서 현대차그룹 계열
경기변동
▷ 해외 플랜트 사업은 중동을 중심으로 수주를 받아 원유가에 영향을 받음
▷ 국내 건설업은 부동산 경기에 민감하게 연동
▷ 국내 건설업은 부동산 경기에 민감하게 연동
주요제품
건축/주택 57.73%
플랜트 24.90%
토목 12.83%
기타 6.35%
연결조정 -1.82%
* 수치는 매출 비중
플랜트 24.90%
토목 12.83%
기타 6.35%
연결조정 -1.82%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레미콘 (루베당 12년 5만7100원 → 13년 5만7400원 → 14년 5만9400원 → 15년 5만7400원 → 16년~17년 6만4200원)
▷ 봉강류 (톤당 12년 76만5000원 → 13년 74만원 → 14년 69만5000원 → 15년 60만원 → 16년 59만5000원 → 17년 63만5000원)
▷ 강판류
▷ 시멘트
▷ 아스콘
▷ 전선
* 괄호 안은 가격 추이
▷ 봉강류 (톤당 12년 76만5000원 → 13년 74만원 → 14년 69만5000원 → 15년 60만원 → 16년 59만5000원 → 17년 63만5000원)
▷ 강판류
▷ 시멘트
▷ 아스콘
▷ 전선
* 괄호 안은 가격 추이
실적변수
▷ 글로벌 플랜트 업황 개선시 수혜
▷ 환율 상승시 수혜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시 수혜
▷ 원유가 상승시 수혜
▷ 환율 상승시 수혜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시 수혜
▷ 원유가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10.85%
- 유동비율 184.01%
- 당좌비율 174.85%
- 이자보상배율 13.65%
- 금융비용부담률 0.30%
- 자본유보율 1,212.20%
- 부채비율 110.85%
- 유동비율 184.01%
- 당좌비율 174.85%
- 이자보상배율 13.65%
- 금융비용부담률 0.30%
- 자본유보율 1,212.20%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