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스톡워치] 아이패밀리에스씨, '롬앤' 호조에 최대 실적 달성
[아이투자 김명선 연구원]







아이패밀리에스씨가 지난해 최대 실적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도 두자릿수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아이패밀리에스씨는 지난해 4분기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한 419억원, 영업이익은 290% 증가한 76억원(영업이익률 18%)을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74% 증가한 1,486억원, 영업이익은 152% 증가한 240억원(영업이익률 16%)을 기록했다. 국내와 해외 모두 각각 67%, 86%의 고성장을 기록했다. 주요 해외 국가는 일본으로 493억원의 판매고를 올렸다.
올해도 두자릿수 성장을 이어간다. DB금융투자 허제나 연구원은 "1분기 일본 대형 유통채널향 롬앤 물량의 신규 출고와 발렌타인데이 에디션 국가별 전용 제품도 출시될 예정"이라며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서 나타나는 매출 선순환 효과를 높게 평가한다"고 전했다.
허 연구원은 목표주가 4만 5,000원(무상증자 감안 시 2만 2,500원)을 제시하며 올해 BUY&HOLD 전략을 권고했다. 전일 종가인 17,990원 대비 약 25%의 업사이드 여력이 있다.
한편 아이패밀리에스씨는 지난달 14일 1:1 무상증자를 결정했다. 860만주의 신주는 오는 21일 상장될 예정이다. 회사는 이번 무상증자에 대해 주주가치 제고 목적과 재무구조 자신감의 표현이라고 전했다,
아이패밀리에스씨는 다수의 브랜드를 발굴 및 성장시키는 '브랜드 인터랙티브' 기업으로 화장품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주요 화장품 브랜드로는 롬앤, 누즈, 앤드바이롬앤 등이 있다.

<이미지: 아이패밀리에스씨 '롬앤' 주요 제품 / 자료 : 아이패밀리에스씨 3Q23 IR>
■ 스톡워치 V차트 분석
- 개별 재무, 연환산 기준
- 자료 : 아이투자 스톡워치
1. 실적 :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1,487억원, 영업이익은 240억원이다. '21년을 제외하고 '18년부터 고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그림1] 실적

2. 이익률 :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률은 18%를 기록했다. 이익률은 '21년 이후 개선되기 시작했다.
[그림2] 이익률

3. 원가율 : 지난해 3분기 매출원가율은 63%, 판관비율은 22%다. '18년부터 판관비율은 급격하게 줄기 시작한 반면 매출원가율은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했다.
[그림3] 매출원가율, 판관비율

4. 재고자산 : 3분기 재고자산은 242억원,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19%다.
[그림4] 재고자산 추이

5. 재무건전성 : 3분기 부채비율은 46%, 유동비율은 351%다. '20년 이후 부채비율은 크게 줄었고 유동비율은 크게 늘었다.
[그림5] 부채비율, 유동비율

6. PER : '21년 10월 상장한 아이패밀리에스씨의 PER은 전일 종가기준 17배로 역대 PER 밴드 중간에 위치한다.
[그림6] PER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544 | 2,049 | 1,487 |
영업이익 | 71 | 336 | 240 |
영업이익률 | 13.1% | 16.4% | 16.1% |
순이익 | 60 | 283 | 200 |
순이익률 | 11.1% | 13.8% | 13.4%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뷰티, 생활 분야의 브랜드 운용 회사
경기변동
▷소득수준의 향상,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메이크업 제품의 접근성 증가로 사치재가 아닌 필수재로 인식되고 있음. 경기변동과는 무관하게 움직임
▷계절별 혼인 건수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받음. 12월에 결혼 건수가 높음
▷계절별 혼인 건수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받음. 12월에 결혼 건수가 높음
주요제품
화장품부문 94.95%
웨딩부문 5.05%
* 수치는 매출 비중
웨딩부문 5.05%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OEM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여 해당사항 없음
실적변수
▷사드 이슈로 인한 중국의 각종 제재로 2017년 국내 화장품 총 생산액이 3.6% 성장에 그침
▷중국, 동남아 등으로의 수출 다변화, 온라인 모바일과 H&B 스토어 등 새로운 유통채널의 등장이 전체 시장의 성장에 기여함.
▷중국, 동남아 등으로의 수출 다변화, 온라인 모바일과 H&B 스토어 등 새로운 유통채널의 등장이 전체 시장의 성장에 기여함.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30.70%
- 유동비율 420.31%
- 당좌비율 345.98%
- 이자보상배율 727.47%
- 금융비용부담률 0.02%
- 자본유보율 1,828.27%
- 부채비율 30.70%
- 유동비율 420.31%
- 당좌비율 345.98%
- 이자보상배율 727.47%
- 금융비용부담률 0.02%
- 자본유보율 1,828.27%
신규사업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