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유니드, 실적 개선세 2분기 지속…목표가 높여”-하나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하나증권은 25일 유니드의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17% 상회한데다, 2분기에도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9만2000원에서 11만원으로 높여 잡았다. 올해 이익 추정치를 21% 상향했기 때문이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8만7900원이다.
전날(24일) 유니드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2547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622% 증가한 275억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윤재성 연구원은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17% 상회했다”면서 “국내 법인 영업이익은 매월 개선됐는데, 판매량 증가와 원재료 가격 하향 안정화에 따른 래깅 스프레드 확대 덕분”이라고 설명헀다. 중국 법인 실적은 춘절 비수기 영향에 따른 판매량 감소와 염소 가격 약세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38% 증가한 362억원을 거둘 것이란 전망이다. 전통적인 성수기 진입으로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
그는 “국내 법인은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8% 증가하고, 전기료 하락으로 스프레드가 개선될 것”이라며 “중국 법인은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13% 늘어나고, 전방 산업인 농약 등 수요 증가로 염소 가격이 회복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 연구원은 “유니드는 탄소포집용 칼륨계 시장의 강자로 AI·데이터센터와 전력수요 급증 과정에서 수혜가 가능한 구조”라며 “올해는 실적 정상화의 원년으로, 내년에는 본격적인 밸류에이션 확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전날(24일) 유니드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2547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622% 증가한 275억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윤재성 연구원은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17% 상회했다”면서 “국내 법인 영업이익은 매월 개선됐는데, 판매량 증가와 원재료 가격 하향 안정화에 따른 래깅 스프레드 확대 덕분”이라고 설명헀다. 중국 법인 실적은 춘절 비수기 영향에 따른 판매량 감소와 염소 가격 약세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38% 증가한 362억원을 거둘 것이란 전망이다. 전통적인 성수기 진입으로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
그는 “국내 법인은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8% 증가하고, 전기료 하락으로 스프레드가 개선될 것”이라며 “중국 법인은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13% 늘어나고, 전방 산업인 농약 등 수요 증가로 염소 가격이 회복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 연구원은 “유니드는 탄소포집용 칼륨계 시장의 강자로 AI·데이터센터와 전력수요 급증 과정에서 수혜가 가능한 구조”라며 “올해는 실적 정상화의 원년으로, 내년에는 본격적인 밸류에이션 확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225 | 11,116 | 11,337 |
영업이익 | 287 | 954 | 321 |
영업이익률 | 8.9% | 8.6% | 2.8% |
순이익 | 223 | 762 | 163 |
순이익률 | 6.9% | 6.9% | 1.4%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OCI 계열 기초 무기화학제품(가성칼륨/탄산칼륨 등) 제조업체
경기변동
▷ 기초 소재에 속해, 경기에 크게 민감하지 않음
주요제품
화학사업부 46.54%
해외사업부 40.37%
보드사업부 14.87%
연결조정 -1.78%
* 수치는 매출 비중
해외사업부 40.37%
보드사업부 14.87%
연결조정 -1.78%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주식회사 유니드]
▷ C/A 사업부 : KCI (27.5%), LNG (3.1%), NaOH 등 (3%) 등
▷ 우드 류 (13.9%) : MDF 원료
[UJC]
▷ UJC 사업부 KCI (89%), NG (8%) 등
[KIH]
▷OJC 사업부 : : KCI (65%), 석탄 (33%) 등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C/A 사업부 : KCI (27.5%), LNG (3.1%), NaOH 등 (3%) 등
▷ 우드 류 (13.9%) : MDF 원료
[UJC]
▷ UJC 사업부 KCI (89%), NG (8%) 등
[KIH]
▷OJC 사업부 : : KCI (65%), 석탄 (33%) 등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전기전자·식품 등 전방산업 호황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37.88%
- 유동비율 227.93%
- 당좌비율 146.40%
- 이자보상배율 49.58%
- 금융비용부담률 0.32%
- 자본유보율 2,162.99%
- 부채비율 37.88%
- 유동비율 227.93%
- 당좌비율 146.40%
- 이자보상배율 49.58%
- 금융비용부담률 0.32%
- 자본유보율 2,162.99%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