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스톡워치] 서진시스템, ESS 장비 기업으로 변모... 연매출 1조원 도전
[아이투자 김명선 연구원]

■ 스톡워치 V차트 분석





서진시스템이 ESS(에너지 저장 장치) 장비 매출 확대에 힘입어 연매출 1조원에 도전한다.
한 때 통신장비 대표주로 떠올랐던 서진시스템은 현재 ESS 장비 기업으로 변모중이다. 서진시스템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5% 오른 3,256억원, 영업이익은 5배 오른 432억원을 기록하며 어닝서프라이즈를 달성했는데, 통신장비 매출 감소에도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장비 매출이 223% 증가하며 실적을 이끌었다.
서진시스템은 지난 2016년 통신장비 매출이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지난해 18%까지 줄어들었다. 이에 반해 ESS 장비 매출 비중은 지난 2021년 21%에서 지난해 35%까지 늘었고 올해는 54%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는 통신장비 기업에서 ESS 장비 대표 기업으로 변모하는 원년이 될 전망이다.
전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전력을 저장 유지하는 ESS에 대한 수요도 덩달아 늘어날 전망이다. 하나증권 조정현 연구원은 "글로벌 ESS시장은 2021년 14조원에서 2030년 약 347조원으로 고성장이 예상된다"라며 "서진시스템은 글로벌 1위 ESS 업체 플루언스(Fluence)를 고객사로 확보하여, 북미 및 유럽 중심의 ESS 매출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증권가에서 추정한 서진시스템의 올해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60.2% 증가한 1조 2,475억원, 영업이익은 188.8% 증가한 1,415억원(영업이익률 11.3%)이다.
큰 폭의 실적 상승이 기대되면서 외국인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전일 기준 올해 외국인은 서진시스템 주식을 403만주 순매수했으며, 외국인 지분율은 연초 대비 6.1%p 오른 10.9%를 기록중이다.


- '24년 1분기 연결 재무
- 자료 : 아이투자 스톡워치
1. 실적 : 1분기 연환산 매출액은 9,066억원으로 역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그림1] 실적

2. 재고자산 : 1분기 재고자산은 6,248억원 매출의 69%를 차지한다. 재고자산은 회사가 팔기 위해 창고에 보관해둔 제품으로 너무 많으면 보관비 등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회사는 적절한 재고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그림2] 재고자산

3. 차입금 : 1분기 차입금은 6,622억원,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은 41%다. 차입금 비중이 계속 늘어나고 40%를 초과할 경우 재무구조가 위험할 수 있다.
[그림3] 차입금, 차입금 비중

4. 매출액 잉여현금흐름 비율 : 1분기 잉여현금흐름을 매출액으로 나눈 매출액 잉여현금흐름 비율은 -9%다. 1분기 순이익은 14억원으로 발표했지만 실제 현금은 819억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비율이 '21년 1분기 저점을 찍은 이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그림4] 매출액 잉여현금흐름 비율

5. PBR : 전일 종가 기준 PBR(주가순자산배수)은 3,27배로 PBR 밴드 상단에 위치한다.
[그림5] PBR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813 | 12,138 | 7,787 |
영업이익 | 209 | 1,087 | 490 |
영업이익률 | 7.4% | 9.0% | 6.3% |
순이익 | 12 | 843 | -226 |
순이익률 | 0.4% | 6.9% | -2.9%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알루미늄을 주 원재료로 통신장비부품, 핸드폰부품, 반도체장비부품을 생산하는 업체
경기변동
▷ 통신장비부문: 타 산업에 비해 경기 변동의 영향 적음
▷ 휴대폰부품부문: 졸업, 크리스마스 시즌 등의 영향으로 8~10월에 부품 공급이 늘어나고 11~1월에는 감소하는 경향 있음
▷ 반도체장비부문: 반도체 소자업체의 투자 의사결정에 따라 매출이 일정 기간에 집중되는 것이 특징
▷ 휴대폰부품부문: 졸업, 크리스마스 시즌 등의 영향으로 8~10월에 부품 공급이 늘어나고 11~1월에는 감소하는 경향 있음
▷ 반도체장비부문: 반도체 소자업체의 투자 의사결정에 따라 매출이 일정 기간에 집중되는 것이 특징
주요제품
기타 36.92%
통신장비 부품 23.21%
ESS 부품 16.56%
반도체 부품 12.73%
핸드폰 부품 10.57%
* 수치는 매출 비중
통신장비 부품 23.21%
ESS 부품 16.56%
반도체 부품 12.73%
핸드폰 부품 10.57%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알루미늄
▷ 철재류
▷ 기타
▷ 철재류
▷ 기타
실적변수
▷ 통신사업자(SK텔레콤, LG유플러스, KT)의 투자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30.77%
- 유동비율 149.75%
- 당좌비율 57.41%
- 이자보상배율 0.46%
- 금융비용부담률 4.42%
- 자본유보율 3,497.58%
- 부채비율 130.77%
- 유동비율 149.75%
- 당좌비율 57.41%
- 이자보상배율 0.46%
- 금융비용부담률 4.42%
- 자본유보율 3,497.58%
신규사업
▷ 자동차 부품 중 알루미늄 부품 제조
▷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CASE 제조
▷ 에너지저장장치(ESS) 케이스 및 구동장치 제조
▷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CASE 제조
▷ 에너지저장장치(ESS) 케이스 및 구동장치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