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풍산, 방산 가치 재평가 지속 중…목표가 상향”-NH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NH투자증권은 16일 풍산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기존 14만9000원에서 19만3000원으로 29% 높였다. 최근 주가 급등은 풍산의 방위사업 부문 가치에 대한 시장의 재평가로, 올해도 실적 성장이 이어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전 거래일 종가는 15만5200원이다.
이 증권사 이재광 연구원은 “풍산의 주가는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 3일 전인 지난 6월 10일부터 급등해 전일 종가 기준 135%가 상승했다”며 “같은 기간 런던금속거래소(LME) 구리 가격은 큰 변화가 없어 그동안 저평가 받아왔던 방산 부문 가치에 대한 시장의 재평가”라고 밝혔다.
이어 “풍산은 국내 유일의 탄약 생산업체로 소구경부터 대구경까지 다양한 탄약을 생산하고 있다”며 “글로벌 탄약 수요 급증으로 방산부문 실적 성장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으며, 올해도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풍산을 제외한 국내 주요 방산 5개 기업은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약 20∼40배에 거래되는데, 풍산은 PER 약 15배 수준에 그친다”고 말했다.
아울러 “장기적으로 구리 가격은 우상향할 전망”이라며 “미국 구리 가격 급등이 미국 생산법인 PMX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 증권사 이재광 연구원은 “풍산의 주가는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 3일 전인 지난 6월 10일부터 급등해 전일 종가 기준 135%가 상승했다”며 “같은 기간 런던금속거래소(LME) 구리 가격은 큰 변화가 없어 그동안 저평가 받아왔던 방산 부문 가치에 대한 시장의 재평가”라고 밝혔다.
이어 “풍산은 국내 유일의 탄약 생산업체로 소구경부터 대구경까지 다양한 탄약을 생산하고 있다”며 “글로벌 탄약 수요 급증으로 방산부문 실적 성장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으며, 올해도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풍산을 제외한 국내 주요 방산 5개 기업은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약 20∼40배에 거래되는데, 풍산은 PER 약 15배 수준에 그친다”고 말했다.
아울러 “장기적으로 구리 가격은 우상향할 전망”이라며 “미국 구리 가격 급등이 미국 생산법인 PMX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11,559 | 45,544 | 41,253 |
영업이익 | 697 | 3,238 | 2,286 |
영업이익률 | 6.0% | 7.1% | 5.5% |
순이익 | 416 | 2,360 | 1,564 |
순이익률 | 3.6% | 5.2% | 3.8%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동 및 동합금소재와 가공품 제조업체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국제 구리가격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신동부문 76.99%
방산부문 23.01%
* 수치는 매출 비중
방산부문 23.01%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전기동 : LS니꼬동제련 등에서 매입
▷ 아연 : 고려아연 등에서 매입
▷ 스크랩 : PAC 등에서 매입
▷ 주석, 인동, 납 등
▷ 아연 : 고려아연 등에서 매입
▷ 스크랩 : PAC 등에서 매입
▷ 주석, 인동, 납 등
실적변수
▷ 구리 가격 상승 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 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 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95.07%
- 유동비율 162.82%
- 당좌비율 62.43%
- 이자보상배율 12.53%
- 금융비용부담률 0.53%
- 자본유보율 1,100.97%
- 부채비율 95.07%
- 유동비율 162.82%
- 당좌비율 62.43%
- 이자보상배율 12.53%
- 금융비용부담률 0.53%
- 자본유보율 1,100.97%
신규사업
▷ 전자부품용 동합금 개발
▷ 고강도 단자 소재 개발
▷ EGC 제품화 개발
▷ 무연 쾌삭 활동 소재 개발
▷ 고강도 단자 소재 개발
▷ EGC 제품화 개발
▷ 무연 쾌삭 활동 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