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한국전력, 투자심리 변화에 목표가 상향”-LS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LS증권은 24일 한국전력의 목표주가를 기존 4만2000원에서 4만7000원으로 올리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2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인데다, 공기업인 한국전력에 대한 여론과 투자심리가 변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서다. 전 거래일 종가는 3만7800원이다.
한국전력의 지난 2분기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1조7615억원, 2조3101억 원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 85% 증가한 실적이다.
이 증권사 성종화 연구원은 “지난 2023년 3분기부터 영업손익 흑자구조를 회복한 후 요금 인상을 통한 매출 증가세 기반 위에 에너지 가격 안정화와 발전 믹스 개선 지속에 따른 영업비용 안정화로, 영업이익은 지속해서 증가하는 등 실적 방향성이 우수하다”고 밝혔다.
성 연구원은 “한국전력 주가는 지난 2021년~2023년 누적 영업 적자의 늪에 갇혀 지난 4월 초까지도 적정 주가와 괴리 상태가 지속됐다”며 “밸류에이션에 대한 인정보다는 누적 영업적자 해소를 통한 배당 규모 회복과 요금 인상에 대한 요구가 먼저였고, 이에 대한 아쉬움은 지난해 영업이익 턴어라운드 이후에도 멀티플 할인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선 두달 전인 4월 초부터 한국전력의 정책 방향성에 대한 여론과 투자심리 변화로 실적 전망이나 펀더멘털의 새로운 변화가 없는데도 주가는 상승세를 시현하며 멀티플 할인 요인을 해소 중”이라며 “이는 한국전력 가치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상당히 의미 있고 합리적인 재평가 과정”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원전 관련 과도한 테마성 모멘텀은 경계해야 하지만, 국내외 신규 원전 확대 관련, Team Korea를 주도하는 한수원과 그 일원인 한전기술, 한전KPS 등을 연결대상 자회사로 거느리고 있는 한국전력의 수혜 포인트는 일리가 있다”고 봤다.
한국전력의 지난 2분기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1조7615억원, 2조3101억 원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 85% 증가한 실적이다.
이 증권사 성종화 연구원은 “지난 2023년 3분기부터 영업손익 흑자구조를 회복한 후 요금 인상을 통한 매출 증가세 기반 위에 에너지 가격 안정화와 발전 믹스 개선 지속에 따른 영업비용 안정화로, 영업이익은 지속해서 증가하는 등 실적 방향성이 우수하다”고 밝혔다.
성 연구원은 “한국전력 주가는 지난 2021년~2023년 누적 영업 적자의 늪에 갇혀 지난 4월 초까지도 적정 주가와 괴리 상태가 지속됐다”며 “밸류에이션에 대한 인정보다는 누적 영업적자 해소를 통한 배당 규모 회복과 요금 인상에 대한 요구가 먼저였고, 이에 대한 아쉬움은 지난해 영업이익 턴어라운드 이후에도 멀티플 할인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선 두달 전인 4월 초부터 한국전력의 정책 방향성에 대한 여론과 투자심리 변화로 실적 전망이나 펀더멘털의 새로운 변화가 없는데도 주가는 상승세를 시현하며 멀티플 할인 요인을 해소 중”이라며 “이는 한국전력 가치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상당히 의미 있고 합리적인 재평가 과정”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원전 관련 과도한 테마성 모멘텀은 경계해야 하지만, 국내외 신규 원전 확대 관련, Team Korea를 주도하는 한수원과 그 일원인 한전기술, 한전KPS 등을 연결대상 자회사로 거느리고 있는 한국전력의 수혜 포인트는 일리가 있다”고 봤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42,240 | 933,989 | 882,195 |
영업이익 | 37,536 | 83,647 | -45,416 |
영업이익률 | 15.5% | 9.0% | -5.1% |
순이익 | 23,282 | 34,917 | -48,225 |
순이익률 | 9.6% | 3.7% | -5.5%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전략자원의 개발, 발전, 송전, 변전, 배전가 이와 관련된 업무를 하는 전력 회사
경기변동
주요제품
전기판매 사업부문 96.50%
화력발전 사업부문 55.79%
원자력발전 사업부문 15.72%
기타 사업부문 7.94%
내부거래 조정 -75.95%
* 수치는 매출 비중
화력발전 사업부문 55.79%
원자력발전 사업부문 15.72%
기타 사업부문 7.94%
내부거래 조정 -75.95%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전기 판매
- 전기
원자력 발전
- 원전연료
화력 발전
- 유연탄, LNG, 기동연료유, 우드팰릿, LNG, 유연탄, 바이오중유, BC유, 우드펠릿, 등경유, 유연탄, BC유(S 2.5%), 기동용 유류, LNG, 우드펠릿, 미이용산림, 유연탄, BC유, 등유, LNG, 우드펠릿, 미이용산림, 바이오중유, 경유, 유연탄, 무연탄, LNG, BC유(S 0.3%), BC유(S 2.5%), 경유(등유포함)
- 전기
원자력 발전
- 원전연료
화력 발전
- 유연탄, LNG, 기동연료유, 우드팰릿, LNG, 유연탄, 바이오중유, BC유, 우드펠릿, 등경유, 유연탄, BC유(S 2.5%), 기동용 유류, LNG, 우드펠릿, 미이용산림, 유연탄, BC유, 등유, LNG, 우드펠릿, 미이용산림, 바이오중유, 경유, 유연탄, 무연탄, LNG, BC유(S 0.3%), BC유(S 2.5%), 경유(등유포함)
실적변수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62.01%
- 유동비율 68.04%
- 당좌비율 40.00%
- 이자보상배율 -13.81%
- 금융비용부담률 3.43%
- 자본유보율 1,293.42%
- 부채비율 262.01%
- 유동비율 68.04%
- 당좌비율 40.00%
- 이자보상배율 -13.81%
- 금융비용부담률 3.43%
- 자본유보율 1,293.42%
신규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