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현대글로비스, 해운 부문 성장으로 2분기 실적 호조

08/06 13:12
[아이투자 김경수 연구원]현대글로비스가 해운 부문의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2분기에도 견조한 성장을 이어갔다. 비계열 물량 확대, 운임 구조 개선, 고원가 단기선복 축소 등 수익성 중심의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2분기 현대글로비스의 매출은 7조 5,1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5,389억원으로 22.7% 늘어났다. 특히 해운 부문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55% 급증한 2,002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전체 영업이익에서 해운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37%에 달했다.

이 같은 성장 배경에는 비계열 고객사(중국 OEM 등)로부터의 물량 확대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PCTC(완성차 해상운송) 내 고수익 비계열 물량 비중은 2분기 기준 55%로, 지난해 3분기 대비 15%p 증가했다. 또한 체선 완화에 따른 비용 감소와 지난해 계열사 운임 재조정 효과도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전통적인 강점인 물류 부문도 양호한 흐름을 유지했다. 2분기 물류 부문의 매출은 2조 5,8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033억원으로 집계됐다. 유통 부문에서는 KD(반조립제품) 수출 증가에 힘입어 매출이 6.7% 증가했지만, 원화 강세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증권업계는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현대글로비스가 제시한 연간 가이던스(영업이익 1.8~1.9조원)를 초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하나증권은 “해운 비계열 물량 확대와 운임 구조 개선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이라며, 연간 영업이익이 2.0조원을 넘어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 V차트 분석
- '25년 1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1분기 연환산 매출액은 29조 443억원, 영업이익은 1조 8700억원으로 '23년 이후 상승세로 돌아선 모습니다.


2. 주가&순이익지수 : 순이익지수가 꾸준히 상승해 왔음에도 주가가 한동안 정체되어 있다가, 최근 들어 주가가 이익에 수렴하고 있다.


3. 부채비율 : 부채비율은 꾸준히 하락하여 100% 미만에 머무르고 있어 재무적으로 건전한 것으로 풀이된다.


4. 현금흐름표 :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이익 증가와 함께 증가하고 있어 긍정적인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5. PER : 5일 종가기준 PER은 9.4배 수준으로 지난 23년 6~7배 미만에 머물렀던 범위보다 높아졌지만, 여전히 10배를 넘어서진 않은 상태이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2025.3 2024.12 2023.12
매출액 72,234 284,074 256,832
영업이익 5,019 17,529 15,540
영업이익률 6.9% 6.2% 6.1%
순이익 3,979 10,939 10,611
순이익률 5.5% 3.9% 4.1%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현대차 계열의 자동차 전문 물류 기업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현대기아차 판매량, 현대제철 조강 생산량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유통부문 48.99%
물류부문 34.53%
해운부문 16.48%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해당사항 없음
실적변수
▷ 현대·기아차 해외 생산 증가시 CKD(자동차 조립 이전 상태) 운송 수요 증가로 수혜
▷ 현대제철 조강량 증가시 운송 수요 증가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22.62%
- 유동비율 166.03%
- 당좌비율 125.53%
- 이자보상배율 23.13%
- 금융비용부담률 0.29%
- 자본유보율 31,588.90%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