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기관 차별적 접근 종목... 무엇?

- +
[아이투자 아이투자]금주 아이투자(www.itooza.com) 스톡봇 레터는 기관 투자자들이 올해 들어 ‘팔자세’를 보인 가운데도 사들인, 즉 ‘차별적 접근’을 한 상장사를 찾아봤습니다.

올 들어 외국인 투자자는 2개월 반 동안(1/1~3/14) 코스피 시장에서 12조1509억원을 순매수했지만, 기관 투자자는 5조1512억원을 순매도해 극명한 대조를 이뤘습니다.

편의상 기관 투자자라 통칭하지만, 사실 기관도 다양한 주체로 구성됩니다. 시장 관점에서 보면 모든 기관이 국내 주식에 부정적이었던 것처럼 보이지만, 세부 내용을 들여다보면 국내 증시 혹은 특정 섹터/종목에 긍정적 시각을 가진 기관도 있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이번 스톡봇 레터는 기관이 큰 맥락에서 ‘팔자’ 행보를 보인 가운데도 사들인 상장사를 찾아봤습니다. 마침 글로벌 시장에서 ‘나홀로 소외’를 나타냈던 국내 시장에 온기가 점차 유입되고 있는 만큼, 이 같은 접근이 차별화된 종목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금융정보 제공업체인 에프앤가이드의 집계치를 바탕으로 최근 한 주 및 1개월 기준으로 기관이 모두 순매수를 기록한 종목을 찾고, 스톡봇 수급 점수가 높은 순으로 추렸는데요. 이에 따르면 삼성중공업두산, 현대모비스, 우리금융지주, 세진중공업 등이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에 포함됐습니다.



스톡봇은 투자자 여러분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 콘텐츠 제공에 항상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의: 위 종목 리스트는 단순 참고용 자료로 이를 바탕으로 한 실제 투자 결과에 대해 스톡봇은 책임이 없습니다. 관심을 가지고 분석할 만한 종목을 찾는 데 도움을 받는 차원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삼성중공업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LNG선, 드릴쉽,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선종에 경쟁력을 갖춘 대형 조선사
사업환경 ▷ 대규모 장치산업이자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중국 등 신흥국의 후발업체들과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 세계 경기 침체로 과거 활황기 대비 전체 수주량은 감소하는 추세
▷ 고유가 기조에 따른 심해유전 개발과 미국 쉐일가스 개발로 가스선 발주가 꾸준할 것으로 기대됨
▷ 엔저에 힘입어 일본업체들의 경쟁력 회복은 리스크임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해운 물동량, 유가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조선해양 97.25%
토건 2.78%
연결조정 -0.03%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후판, 엔진, 형강, 프로펠러, 내외장재 등 : 포스코, NSC, 두산엔진, 현재중공업에서 구매(99.7%)
- 강판 가격추이(12년 1,110 → 13년 1,110 → 14년 1,110 → 15년 1,110 * 단위 : 천원/톤)
- 형강 가격추이(12년 1,020 → 13년 1,020 → 14년 820 → 15년 820 * 단위 : 천원/톤)
▷ 철근, 강재, 시멘트 : 포스코 등에서 구입 (0.3%)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매입단가 추이
실적변수 ▷ 국제 교역 증가시 선박 발주량 증가로 수혜 가능성 상승
▷ 후판 가격 하락시 원가 개선
▷ 유가 상승시 자원개발 수요 증가로 수혜 가능성 상승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04.62%
- 유동비율 79.52%
- 당좌비율 32.42%
- 이자보상배율 -6.05%
- 금융비용부담률 1.06%
- 자본유보율 457.85%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삼성중공업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삼성중공업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24.9 2023.12 2022.12
매출액 72,027 80,094 59,447
영업이익 3,285 2,333 -8,544
영업이익률(%) 4.6% 2.9% -14.4%
순이익(지배지분) 1,605 -1,483 -6,194
순이익률(%) 2.2% -1.9% -10.4%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