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신한투자증권은 27일 코오롱ENP가 고부가 제품 확대로 증익이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8400원에서 9400원으로 12%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5970원이다.
이 증권사 김명주 연구원은 “올해 영업이익은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둔 지난 2022년 수준이 예상되지만, 주가수익비율(PER)은 7배에 불과하다”면서 “고부가 스폐셜티 비중 확대 전략으로 내년까지 증익 기조가 기대되는 가운데 저평가 매력이 점차 부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오롱ENP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3% 감소한 1193억원, 영업이익은 96억으로 같은 기간 4% 감소했는데, 성과급 등 일회성 비용 45억원을 감안하면 호실적이란 평가다.
김 연구원은 “폴리옥시메틸렌(POM) 매출액은 유럽·북미 수요 둔화에 따른 판매량 감소로 618억원을 기록했다”면서 “다만, 수익성은 환율 강세에 따른 판가 상승과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10% 초반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컴파운드 매출액은 575억원을 거뒀으며 영업이익률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며 “판가와 판매량 모두 개선된 상황에서 고수익성 PBT(EV 및 광케이블향) 판매 확대 영향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어려운 대외환경에도 지난해 증익을 시현했으며 올해 영업이익은 432억원으로 예상한다”며 “POM은 높은 진입 장벽에 따른 제한적인 증설 및 고부가 의료용 판매 확대로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POM에서는 메디컬 제품, 컴파운드에서는 전기차향 제품 비중 확대로 이익의 질적 개선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 증권사 김명주 연구원은 “올해 영업이익은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둔 지난 2022년 수준이 예상되지만, 주가수익비율(PER)은 7배에 불과하다”면서 “고부가 스폐셜티 비중 확대 전략으로 내년까지 증익 기조가 기대되는 가운데 저평가 매력이 점차 부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오롱ENP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3% 감소한 1193억원, 영업이익은 96억으로 같은 기간 4% 감소했는데, 성과급 등 일회성 비용 45억원을 감안하면 호실적이란 평가다.
김 연구원은 “폴리옥시메틸렌(POM) 매출액은 유럽·북미 수요 둔화에 따른 판매량 감소로 618억원을 기록했다”면서 “다만, 수익성은 환율 강세에 따른 판가 상승과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10% 초반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컴파운드 매출액은 575억원을 거뒀으며 영업이익률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며 “판가와 판매량 모두 개선된 상황에서 고수익성 PBT(EV 및 광케이블향) 판매 확대 영향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어려운 대외환경에도 지난해 증익을 시현했으며 올해 영업이익은 432억원으로 예상한다”며 “POM은 높은 진입 장벽에 따른 제한적인 증설 및 고부가 의료용 판매 확대로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POM에서는 메디컬 제품, 컴파운드에서는 전기차향 제품 비중 확대로 이익의 질적 개선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코오롱ENP] 최신 분석 보고서
- [거래 급증주] 세림B&G, 진영, 에코플라스틱 등05/29
- [장마감 거래 급증주 점검] 코오롱ENP, 거래량↑...11/04
- “코오롱ENP, 고부가 제품 수익성 개선에 목표가...05/22
- [장마감 거래 급증주 점검] 코오롱ENP, 거래량↑...05/20
- “코오롱플라스틱, 올해 감익…내년 실적 안정적...12/01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코오롱ENP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등이 주력인 코오롱 계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전문업체 |
---|---|
사업환경 |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범용 플라스틱보다 강도가 높아 금속을 대체하는 소재로 주목되고 있음 ▷ 경쟁사 대비 포트폴리오 다양화해 안정적 실적 유지 |
경기변동 | ▷ 전방산업이 전기·전자, 자동차, 기계 등 다양해 전반적인 경기 흐름에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엔지니어링플라스틱(POM) 56.83% 엔지니어링플라스틱(Compound) 43.17%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메탄올 (23.1%) Methanex 등에서 매입 ▷ Base resin (56.6%) : Compound 원료로 코오롱인더스트리 등에서 매입. ▷ 기타부원료 (20.2%)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실적변수 | ▷ 자동차 경량화시 수혜 ▷ 석유화학 원료인 나프타 가격 하락시 수혜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64.07% - 유동비율 150.42% - 당좌비율 66.44% - 이자보상배율 35.57% - 금융비용부담률 0.25% - 자본유보율 485.48% |
신규사업 | ▷ 특수목적용 POM 라인 증설 |
코오롱ENP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코오롱ENP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1,239 | 4,862 | 4,562 |
영업이익 | 128 | 398 | 338 |
영업이익률(%) | 10.4% | 8.2% | 7.4% |
순이익(지배지분) | 121 | 395 | 328 |
순이익률(%) | 9.8% | 8.1% | 7.2% |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