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효성중공업, 중공업 이익 증가에 목표가 올려”-신한
[아이투자 조양희]신한투자증권은 3일 효성중공업에 대해 목표주가를 기존 9만4000원에서 10만7000원으로 13.8% 상향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높아진 수주 잔고와 중공업 부문의 이익이 증가한 것을 목표주가에 반영해서다.
효성중공업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8465억원, 영업이익은 141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 대비 매출액은 21% 상회하지만, 영업이익은 11% 하회하는 실적이다.
1분기는 중공업 부문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중공업 매출액은 47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68% 증가했으며, 영업손실 9억원을 기록했다. 명지운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매출 증가는 수주잔고가 3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37%로 증가해 매출인식 물량이 늘어난 영향”이라며 “영업이익은 장납기 물량의 원가 상승으로 적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5년 이상 장납기 물량은 수주잔고의 10% 이하로 2분기부터 매출이 증가해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건설 부문은 매출액 3699억원, 영업이익 1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 4% 늘어났다.
그는 “국내 대형 전력기기 시장은 효성중공업과 HD현대일렉트릭이 양분하는데 양사는 전력기기에서 비슷한 매출액을 거두지만 시가총액은 효성중공업이 경쟁사의 40%에 불과하다”면서 “이유는 전력기기의 낮은 마진율과 건설사업부의 낮은 멀티플, 높은 부채비율 등이다”라고 말했다.
명 연구원은 “경쟁사는 선제적 빅배스(2018~19년 영업적자 2573억원)를 단행하며 잔고의 건전성이 빠르게 회복됐고, 효성중공업은 회복이 다소 늦어지고 있다”면서 “건설사업의 높은 이익 기여가 역으로 낮은 건설 멀티플 측면에서는 불편하지만 전력기기 업황 호황은 시차를 두고 반영되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전력기기 부족 현상과 풍부한 수주잔고에도 경쟁사 대비 60% 할인은 과도해 보인다”면서 “2분기부터 격차를 좁혀갈 전망”이라고 판단했다.
효성중공업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8465억원, 영업이익은 141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 대비 매출액은 21% 상회하지만, 영업이익은 11% 하회하는 실적이다.
1분기는 중공업 부문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중공업 매출액은 47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68% 증가했으며, 영업손실 9억원을 기록했다. 명지운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매출 증가는 수주잔고가 3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37%로 증가해 매출인식 물량이 늘어난 영향”이라며 “영업이익은 장납기 물량의 원가 상승으로 적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5년 이상 장납기 물량은 수주잔고의 10% 이하로 2분기부터 매출이 증가해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건설 부문은 매출액 3699억원, 영업이익 1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 4% 늘어났다.
그는 “국내 대형 전력기기 시장은 효성중공업과 HD현대일렉트릭이 양분하는데 양사는 전력기기에서 비슷한 매출액을 거두지만 시가총액은 효성중공업이 경쟁사의 40%에 불과하다”면서 “이유는 전력기기의 낮은 마진율과 건설사업부의 낮은 멀티플, 높은 부채비율 등이다”라고 말했다.
명 연구원은 “경쟁사는 선제적 빅배스(2018~19년 영업적자 2573억원)를 단행하며 잔고의 건전성이 빠르게 회복됐고, 효성중공업은 회복이 다소 늦어지고 있다”면서 “건설사업의 높은 이익 기여가 역으로 낮은 건설 멀티플 측면에서는 불편하지만 전력기기 업황 호황은 시차를 두고 반영되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전력기기 부족 현상과 풍부한 수주잔고에도 경쟁사 대비 60% 할인은 과도해 보인다”면서 “2분기부터 격차를 좁혀갈 전망”이라고 판단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10,761 | 48,950 | 43,006 |
영업이익 | 1,024 | 3,625 | 2,578 |
영업이익률 | 9.5% | 7.4% | 6.0% |
순이익 | 1,022 | 2,226 | 1,160 |
순이익률 | 9.5% | 4.5% | 2.7%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효성에서 중공업/건설 사업 부문 분할
경기변동
▷ 국내 발전 및 송배전시장은 국가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투자가 결정돼 경기변동의 영향이 크지 않음
▷ 기업의 설비투자, 가계의 주택구매력 및 정부의 건설투자 계획 등이 수주에 영향을 미침
▷ 기업의 설비투자, 가계의 주택구매력 및 정부의 건설투자 계획 등이 수주에 영향을 미침
주요제품
중공업부문 52.38%
건설부문 46.79%
공통부문 0.83%
* 수치는 매출 비중
건설부문 46.79%
공통부문 0.83%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구리, Core 등: 변압기, 차단기의 원재료
- 포스코, 삼동, 무한강철(중국) 등으로부터 매입
- 포스코, 삼동, 무한강철(중국) 등으로부터 매입
실적변수
▷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한 송배전 관련 수주 증가
▷ 건설 수주경쟁력, 분양성 확보
▷ 남북한 관계개선, 지속가능한 국토로의 지속 개조가 잠재적 성장성
▷ 건설 수주경쟁력, 분양성 확보
▷ 남북한 관계개선, 지속가능한 국토로의 지속 개조가 잠재적 성장성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96.14%
- 유동비율 79.79%
- 당좌비율 52.27%
- 이자보상배율 -0.45%
- 금융비용부담률 1.77%
- 자본유보율 1,929.48%
- 부채비율 296.14%
- 유동비율 79.79%
- 당좌비율 52.27%
- 이자보상배율 -0.45%
- 금융비용부담률 1.77%
- 자본유보율 1,929.48%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