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심텍, 하락 사이클 곧 마무리될 것"

07/04 07:47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심텍은 PCB(인쇄회로기판) 제조 및 판매 사업을 하는 회사다. 국내에 6개의 공장과 R&D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 중국과 일본에 해외 주요 생산법인이 있다.

1분기 기준 품목별 매출 비중은 메모리 모듈 26.1%, 반도체 기판(Package Substrate) 73.9%다. 또, 수출과 내수 비중은 각각 90%, 10%다.

심텍의 매출액은 2022년 3분기까지 꾸준히 증가했다가, 최근 2개 분기 연속 감소하는 모습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매출액 흐름과 함께 증감했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5.9%, 11%다. 두 이익률은 작년 3분기 각각 22.3%, 16.2%를 기록한 후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 모두 하락세를 이어오다, 최근 2개 분기 연속 반등했다. 1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75.4%, 8.7%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작년까지 하락세를 보이다 올해 1분기 반등해 10.6%를 기록했다. 다만, 재고자산 비중은 10%대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8.2%다. 이는 5년 평균 13.4%보다 높은 수준이다. ROE는 작년 2분기 46.8%를 기록한 후 하락세를 시작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30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88배로, 5년 평균 2.17배에 비해 낮다. PBR은 지난해 4분기 1.38배를 기록한 후 반등하는 흐름이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을 보자. 순이익률은 최근 2개 분기 연속 하락한 가운데 총자산회전율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재무레버리지는 2개 분기 연속 상승해 대조적이었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심텍은 2015년부터 배당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근 주당 배당금이 증가해 눈길을 끈다. 주당 배당금은 2020년 320원에서 2021년과 2022년 500원으로 증가했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1.9%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그러나, 배당성향은 2020년 18% → 2021년 14% → 2022년 6%로 낮아졌다.

[그래프8]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23.5%, 106.7%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 100% 이하, 유동비율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심텍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아쉬운 편이다.

[그래프9]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차입금은 올해 1분기 급증하는 모습이다. 이에 차입금 비중은 작년 4분기 7.9%에서 올해 1분기 15.4%로 상승했다.

[그래프10]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33.3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래프11]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순이익지수가 2개 분기 연속 하락한 가운데,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던 주가는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2]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30일 심텍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한 키움증권 김지산 연구원은 "반도체 고객사 감산, 과잉 재고, 판가 하락이 중첩된 PCB 업종의 극심한 하락 사이클이 곧 마무리될 것이다"며, "수주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2분기에 적자폭을 의미있게 줄인 후 3분기에 흑자 전환을 시도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고부가인 SiP와 GDDR6용 기판이 회복을 이끌고 있다'며, "메모리 반도체 비중이 높은 만큼 향후 반도체 업황 회복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고, 비메모리 제품군 육성을 통해 구조적 성장을 시도할 것이다"고 분석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2025.3 2024.12 2023.12
매출액 3,036 12,314 10,419
영업이익 -163 -470 -881
영업이익률 -5.4% -3.8% -8.5%
순이익 -355 -303 -1,149
순이익률 -11.7% -2.5% -11.0%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주식회사 심텍홀딩스로부터 인적분할된 반도체용 PCB 제조 업체
경기변동
▷ 경기는 일반적으로 전방산업인 반도체, 통신기기 및 PC의 출하량과 연동
주요제품
Package Substrate 77.80%
Module PCB 22.20%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COPPER CLAD LAMINATE (24.3%) : 동박적층판 (15년 7151원 → 16년 6992원 → 17년 7603원 → 18년1Q 5499원 → 18년2Q 5831원 → 18년3Q 6840원)
▷ PREPREG (9.7%) : 절연성수지 (15년 2510원 → 16년 2428원 → 17년 2854원 → 18년1Q 1700원 → 18년2Q 1916원 → 18년3Q 2315원)
▷ COPPER FOIL (4.1%) : 동박
▷ POTASSIUM GOLD CYANIDE (30.8%) : 청화금카리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가격 추이
실적변수
▷ 환율에 의한 주요 제품(인쇄회로기판) 가격 변동
▷ 전방산업인 반도체, 통신기기 및 PC의 출하량과 각종 전자기기의 기술변화가 수요의 변동요인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42.49%
- 유동비율 85.83%
- 당좌비율 46.24%
- 이자보상배율 35.07%
- 금융비용부담률 0.58%
- 자본유보율 2,343.33%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