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GS건설, 내년 하반기 실적 회복 가능”-신한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신한투자증권은 12일 GS건설에 대해 내년 하반기에나 주택부문의 의미있는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하면서 투자의견 ‘단기매수(Trading buy)’, 목표주가 1만5000원을 모두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1만5540원이다.
김선미 연구원은 “어려운 시황에도 연간 2만 세대의 신규 분양이 지속되고 있지만, 내년 2~3분기까지 주택부문 수익성은 다소 낮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신규 현장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원가조정이 마무리되는 내년 하반기에나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주택 전현장에 대해 자체적인 품질점검 강화를 진행 중이며 이 과정에서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며 “일반적으로 현장별 예정원가율 조정이 완료되는 데까지 약 1년 정도 소요됨을 고려하면 원가조정이 마무리되는 내년 하반기에나 주택부문의 의미있는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산유동화 및 영업현금흐름 개선에 주력하며 재무구조를 방어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GS건설은 100% 자회사인 GS이니마의 소수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지분 약 20%를 매각해 1000억원을 확보하는 안이 유력하다”면서 “인천 검단 사고로 현금 유출까지 발생하고 있어 당분간 유동성 확보에 주력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어 “우려와 달리 재무구조가 추가적으로 악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올해 신규분양 현장에서 선수금 유입과 3만 세대에 달하는 입주 현장에서의 공사비 회수로 영업현금흐름이 개선세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현금 유출 증가에도 내년 순차입금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다.
그러면서 “실적 관련 불확실성이 높은 시점에서 밸류에이션 매력은 의미가 적다”면서 “기다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김선미 연구원은 “어려운 시황에도 연간 2만 세대의 신규 분양이 지속되고 있지만, 내년 2~3분기까지 주택부문 수익성은 다소 낮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신규 현장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원가조정이 마무리되는 내년 하반기에나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주택 전현장에 대해 자체적인 품질점검 강화를 진행 중이며 이 과정에서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며 “일반적으로 현장별 예정원가율 조정이 완료되는 데까지 약 1년 정도 소요됨을 고려하면 원가조정이 마무리되는 내년 하반기에나 주택부문의 의미있는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산유동화 및 영업현금흐름 개선에 주력하며 재무구조를 방어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GS건설은 100% 자회사인 GS이니마의 소수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지분 약 20%를 매각해 1000억원을 확보하는 안이 유력하다”면서 “인천 검단 사고로 현금 유출까지 발생하고 있어 당분간 유동성 확보에 주력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어 “우려와 달리 재무구조가 추가적으로 악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올해 신규분양 현장에서 선수금 유입과 3만 세대에 달하는 입주 현장에서의 공사비 회수로 영업현금흐름이 개선세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현금 유출 증가에도 내년 순차입금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다.
그러면서 “실적 관련 불확실성이 높은 시점에서 밸류에이션 매력은 의미가 적다”면서 “기다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0,629 | 128,638 | 134,367 |
영업이익 | 704 | 2,860 | -3,879 |
영업이익률 | 2.3% | 2.2% | -2.9% |
순이익 | 284 | 2,456 | -4,819 |
순이익률 | 0.9% | 1.9% | -3.6%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우리나라 대표 건설사로, GS그룹 소속
경기변동
▷ 건설은 국내 부동산 경기에 따라 호황, 불황이 반복
▷ 해외 플랜트는 원유가와 중동 경기에 영향을 받음
▷ 해외 플랜트는 원유가와 중동 경기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철근 (9.6%)
▷ 레미콘 (12.8%)
▷ 전선 (1.7%)
▷ 토건기타 (58.4%)
▷ 플랜트기자재 (17.2%)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레미콘 (12.8%)
▷ 전선 (1.7%)
▷ 토건기타 (58.4%)
▷ 플랜트기자재 (17.2%)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정부의 건설·토목 예산 규모와 부동산 규제
▷ 주택 미분양 하락시 수혜
▷ 원유가 상승시 수혜
▷ 주택 미분양 하락시 수혜
▷ 원유가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17.80%
- 유동비율 125.00%
- 당좌비율 88.56%
- 이자보상배율 6.10%
- 금융비용부담률 1.06%
- 자본유보율 1,027.38%
- 부채비율 217.80%
- 유동비율 125.00%
- 당좌비율 88.56%
- 이자보상배율 6.10%
- 금융비용부담률 1.06%
- 자본유보율 1,027.38%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