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GS건설, 내년부터 마진 개선 기대…목표가 올려”-하나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하나증권은 10일 GS건설에 대해 내년 점진적인 마진 개선이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1만5000원에서 1만9000원으로 26.7% 올렸다. 투자의견은 ‘중립’을 그대로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1만8660원이다.
이 증권사에 따르면, GS건설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5% 늘어난 3조2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6.6% 증가한 819억원을 거둘 전망이다.
김승준 연구원은 “주택건축 매출총이익률(GPM)을 7%, 플랜트 4%, 인프라 7%, 신사업 14%로 추정했다”면서 “3분기 분양은 약 4000세대이며, 3분기 누적으로 약 1만2600세대 기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간 가이던스는 1만9880세대이다.
이어 “3분기 수주는 약 3조3000억원, 수주잔고는 56조5000억원으로 추정하며, 신사업에서 이니마 하수처리 1조원 수주를 포함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GS건설이 공사 중인 현장은 약 70개 정도로 파악된다”며 “착공 시기별로 보면, 지난 2021년 15개, 2022년 30개, 2023년 17개, 2024년 10개 정도로, 이중 올해 내로 10개 현장이 종료될 예정이며, 내년에는 30개 현장이 종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공사비 상승기에 해당해 마진이 좋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 지난 2021과 2022년 착공한 현장이 내년까지 총 40개 종료될 것”이라며 “내년부터 주택의 마진 믹스는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료>GS건설, 하나증권
이 증권사에 따르면, GS건설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5% 늘어난 3조2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6.6% 증가한 819억원을 거둘 전망이다.
김승준 연구원은 “주택건축 매출총이익률(GPM)을 7%, 플랜트 4%, 인프라 7%, 신사업 14%로 추정했다”면서 “3분기 분양은 약 4000세대이며, 3분기 누적으로 약 1만2600세대 기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간 가이던스는 1만9880세대이다.
이어 “3분기 수주는 약 3조3000억원, 수주잔고는 56조5000억원으로 추정하며, 신사업에서 이니마 하수처리 1조원 수주를 포함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GS건설이 공사 중인 현장은 약 70개 정도로 파악된다”며 “착공 시기별로 보면, 지난 2021년 15개, 2022년 30개, 2023년 17개, 2024년 10개 정도로, 이중 올해 내로 10개 현장이 종료될 예정이며, 내년에는 30개 현장이 종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공사비 상승기에 해당해 마진이 좋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 지난 2021과 2022년 착공한 현장이 내년까지 총 40개 종료될 것”이라며 “내년부터 주택의 마진 믹스는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료>GS건설, 하나증권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0,629 | 128,638 | 134,367 |
영업이익 | 704 | 2,860 | -3,879 |
영업이익률 | 2.3% | 2.2% | -2.9% |
순이익 | 284 | 2,456 | -4,819 |
순이익률 | 0.9% | 1.9% | -3.6%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우리나라 대표 건설사로, GS그룹 소속
경기변동
▷ 건설은 국내 부동산 경기에 따라 호황, 불황이 반복
▷ 해외 플랜트는 원유가와 중동 경기에 영향을 받음
▷ 해외 플랜트는 원유가와 중동 경기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철근 (9.6%)
▷ 레미콘 (12.8%)
▷ 전선 (1.7%)
▷ 토건기타 (58.4%)
▷ 플랜트기자재 (17.2%)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레미콘 (12.8%)
▷ 전선 (1.7%)
▷ 토건기타 (58.4%)
▷ 플랜트기자재 (17.2%)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정부의 건설·토목 예산 규모와 부동산 규제
▷ 주택 미분양 하락시 수혜
▷ 원유가 상승시 수혜
▷ 주택 미분양 하락시 수혜
▷ 원유가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17.80%
- 유동비율 125.00%
- 당좌비율 88.56%
- 이자보상배율 6.10%
- 금융비용부담률 1.06%
- 자본유보율 1,027.38%
- 부채비율 217.80%
- 유동비율 125.00%
- 당좌비율 88.56%
- 이자보상배율 6.10%
- 금융비용부담률 1.06%
- 자본유보율 1,027.38%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