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GS건설,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에 목표가↑”-유안타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유안타증권은 15일 GS건설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인데다, 하반기 신규 수주와 시공권 확보 등으로 성장이 본격화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2만8000원에서 3만원으로 7% 높였다.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2만1250원이다.
GS건설의 지난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3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6% 증가한 1081억원으로 시장 영업업이익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 증권사 장윤석 연구원은 “자회사 Elements Europe 청산 결정에 따른 손실 규모가 최대 1000억원이 반영되겠지만, 메이플자이 788억원, 철산자이 더 헤리티지 520억원 등 현장에서 도급증액이 이뤄지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부동산원의 검증 절차가 진행 중인 메이플자이 공사비 증액분 1834억원, 카타르메트로 현장 분쟁조정에 따른 환입액 약 500억원, 실행원가율이 100%인 플랜트 현장의 본예산 편성 등 변수 현실화 여부에 따라 실적 서프라이즈도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GS건설은 상반기 수주 실적이 7조9000억원을 기록하며 연간 계획 14조3000억원의 절반 이상을 달성했다”며 “7월 현재 누계 기준 시공권도 약 4조2000억원을 확보했으며, 4조원 규모의 잔여 파이프라인을 감안할 때 연간 시공권 확보 실적은 지난해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장 연구원은 “원가율 개선에 따른 실적 성장 경로가 2분기부터 본격화될 것이라는 점과 고무적인 신규 수주와 시공권 확보 실적으로 하반기 밸류에이션 키 맞추기 기회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GS건설의 지난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3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6% 증가한 1081억원으로 시장 영업업이익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 증권사 장윤석 연구원은 “자회사 Elements Europe 청산 결정에 따른 손실 규모가 최대 1000억원이 반영되겠지만, 메이플자이 788억원, 철산자이 더 헤리티지 520억원 등 현장에서 도급증액이 이뤄지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부동산원의 검증 절차가 진행 중인 메이플자이 공사비 증액분 1834억원, 카타르메트로 현장 분쟁조정에 따른 환입액 약 500억원, 실행원가율이 100%인 플랜트 현장의 본예산 편성 등 변수 현실화 여부에 따라 실적 서프라이즈도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GS건설은 상반기 수주 실적이 7조9000억원을 기록하며 연간 계획 14조3000억원의 절반 이상을 달성했다”며 “7월 현재 누계 기준 시공권도 약 4조2000억원을 확보했으며, 4조원 규모의 잔여 파이프라인을 감안할 때 연간 시공권 확보 실적은 지난해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장 연구원은 “원가율 개선에 따른 실적 성장 경로가 2분기부터 본격화될 것이라는 점과 고무적인 신규 수주와 시공권 확보 실적으로 하반기 밸류에이션 키 맞추기 기회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0,629 | 128,638 | 134,367 |
영업이익 | 704 | 2,860 | -3,879 |
영업이익률 | 2.3% | 2.2% | -2.9% |
순이익 | 284 | 2,456 | -4,819 |
순이익률 | 0.9% | 1.9% | -3.6%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우리나라 대표 건설사로, GS그룹 소속
경기변동
▷ 건설은 국내 부동산 경기에 따라 호황, 불황이 반복
▷ 해외 플랜트는 원유가와 중동 경기에 영향을 받음
▷ 해외 플랜트는 원유가와 중동 경기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철근 (9.6%)
▷ 레미콘 (12.8%)
▷ 전선 (1.7%)
▷ 토건기타 (58.4%)
▷ 플랜트기자재 (17.2%)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레미콘 (12.8%)
▷ 전선 (1.7%)
▷ 토건기타 (58.4%)
▷ 플랜트기자재 (17.2%)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정부의 건설·토목 예산 규모와 부동산 규제
▷ 주택 미분양 하락시 수혜
▷ 원유가 상승시 수혜
▷ 주택 미분양 하락시 수혜
▷ 원유가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17.80%
- 유동비율 125.00%
- 당좌비율 88.56%
- 이자보상배율 6.10%
- 금융비용부담률 1.06%
- 자본유보율 1,027.38%
- 부채비율 217.80%
- 유동비율 125.00%
- 당좌비율 88.56%
- 이자보상배율 6.10%
- 금융비용부담률 1.06%
- 자본유보율 1,027.38%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