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풍산, 2Q 하회에도 목표가↑…방산 성장성에 집중”-신한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신한투자증권은 4일 풍산의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음에도 목표주가를 기존 8만5000원에서 17만5000원으로 상향했다. 단기 흔들림보다 중장기 성장 파이프라인에 주목해서다. 전 거래일 종가는 13만5500원이다.
이 증권사 한승훈 연구원은 “실적 추정치 변경과 방산 부문 멀티플 상향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조정했다”고 말했다.
풍산의 2분기 영업이익은 9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했다. 시장 기대치 1115억원을 하회하는 실적이다.
실적 부진에 대해 한 연구원은 “통상임금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150억원의 일회성 충당금을 선반영했고, 지난 4월부터 적용된 미국 스포츠탄 관세 때문에 본사 수출 물량이 줄고 자회사 PMC가 약 50억원의 관세 관련 비용을 부담했다”며 “산업용 전력요금 상승과 원화 강세 등이 신동 사업 수익성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은 각각 3839억원, 470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증설 작업을 마친 155mm 포탄 생산능력은 기존 대비 2배 이상 확대될 것”이라며 “하반기부터 대구경탄 매출 기여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신관(탄두의 기폭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생산 자회사 FNS의 생산능력 확대 효과도 기대된다”며 “고부가 대구경 탄약 생산이 증가할수록 신관의 내재화와 생산능력 확보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신동 부문에서는 지난 7월 완공된 도금라인과 내년 초 완공 예정인 박판 소둔로가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를 견인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증권사 한승훈 연구원은 “실적 추정치 변경과 방산 부문 멀티플 상향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조정했다”고 말했다.
풍산의 2분기 영업이익은 9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했다. 시장 기대치 1115억원을 하회하는 실적이다.
실적 부진에 대해 한 연구원은 “통상임금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150억원의 일회성 충당금을 선반영했고, 지난 4월부터 적용된 미국 스포츠탄 관세 때문에 본사 수출 물량이 줄고 자회사 PMC가 약 50억원의 관세 관련 비용을 부담했다”며 “산업용 전력요금 상승과 원화 강세 등이 신동 사업 수익성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은 각각 3839억원, 470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증설 작업을 마친 155mm 포탄 생산능력은 기존 대비 2배 이상 확대될 것”이라며 “하반기부터 대구경탄 매출 기여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신관(탄두의 기폭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생산 자회사 FNS의 생산능력 확대 효과도 기대된다”며 “고부가 대구경 탄약 생산이 증가할수록 신관의 내재화와 생산능력 확보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신동 부문에서는 지난 7월 완공된 도금라인과 내년 초 완공 예정인 박판 소둔로가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를 견인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11,559 | 45,544 | 41,253 |
영업이익 | 697 | 3,238 | 2,286 |
영업이익률 | 6.0% | 7.1% | 5.5% |
순이익 | 416 | 2,360 | 1,564 |
순이익률 | 3.6% | 5.2% | 3.8%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동 및 동합금소재와 가공품 제조업체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국제 구리가격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신동부문 76.99%
방산부문 23.01%
* 수치는 매출 비중
방산부문 23.01%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전기동 : LS니꼬동제련 등에서 매입
▷ 아연 : 고려아연 등에서 매입
▷ 스크랩 : PAC 등에서 매입
▷ 주석, 인동, 납 등
▷ 아연 : 고려아연 등에서 매입
▷ 스크랩 : PAC 등에서 매입
▷ 주석, 인동, 납 등
실적변수
▷ 구리 가격 상승 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 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 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95.07%
- 유동비율 162.82%
- 당좌비율 62.43%
- 이자보상배율 12.53%
- 금융비용부담률 0.53%
- 자본유보율 1,100.97%
- 부채비율 95.07%
- 유동비율 162.82%
- 당좌비율 62.43%
- 이자보상배율 12.53%
- 금융비용부담률 0.53%
- 자본유보율 1,100.97%
신규사업
▷ 전자부품용 동합금 개발
▷ 고강도 단자 소재 개발
▷ EGC 제품화 개발
▷ 무연 쾌삭 활동 소재 개발
▷ 고강도 단자 소재 개발
▷ EGC 제품화 개발
▷ 무연 쾌삭 활동 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