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락률 상위 15개 기업 중 PER이 가장 낮았던 종목은 한양이엔지, 코메론 순서고, PBR은 평화정공, 코메론 순으로 낮았다. PER과 PBR은 낮을수록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한다.

PER은 전일 종가기준 시가총액을 2018년 2분기 연환산(최근 4개 분기 합) 순이익으로, PBR은 전일 종가기준 시가총액을 2018년 2분기 순자산(자본총계)으로 나눠 각각 구했다. 연결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업의 순이익과 자본총계는 연결 지배주주 기준이다. PER이 25배를 넘는 기업은 위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02.15 15:20
-
1
화장품 업계
31
▲3.7%
▲26
▼4
1
8,800원
▲1,130원▲14.7%
-
2
셋톱박스 제조사
7
▲1.8%
▲2
▼4
1
1,770원
▲220원▲14.2%
-
3
강관업계
6
▲1.0%
▲4
▼2
0
14,050원
▲1,050원▲8.1%
-
4
발틱운임지수(BDI) 상승
2
▲1.0%
▲2
▼0
0
4,330원
▲45원▲1.1%
이 시각 급등주02.15 15:20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엠넷] 최신 분석 보고서
[이엠넷]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네이버' 키워드 광고 공식 대행사 |
---|---|
사업환경 | ▷ 인터넷 광고는 연평균 15%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 ▷ 모바일 광고 시장 확대, 국내 온라인 광고시장의 17%가 모바일 광고 |
경기변동 | ▷ 인터넷 광고는 기존 전통 매체에 비해 경기변동의 영향을 적게 받음 |
주요제품 | ▷ 국내 광고대행 : 네이버 (38.2%), 구글 (4.3%), 다음 (4.3%) - 네이버 수수료 비율 : 13년~15년 13%,15% → 16년 10%,13%,15% → 17년~18년3Q 10%,13%,15%,21%,25% - 구글 수수료 비율 : 13년 12% → 14년 10%→ 15년 10%,12% → 16년~18년3Q 12% ▷ 국내 용역 / 임대수입 (67%) ▷ 일본 광고대행 : 야후 (9.2%), 구글 (15.4%), 페이스북 (2%), 트위터 등 기타 (2.5%) ▷ 일본 용역 / 임대수입 / 기타 (3.2%)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원재료 | ▷ 해당사항 없음 |
실적변수 | ▷ 포털 사이트(주요 매출처 : 네이버)의 광고 수수료율 인상시 실적 증가 ▷ 원/엔 환율 상승시 수혜 |
리스크 | ▷ 재무 건전성: ★★★★ (개별) - 부채비율 34%, 유동비율 332% |
신규사업 | ▷ 진행 중인 신규 사업 없음 |
이엠넷의 정보는 2018년 12월 07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이엠넷]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18.9 | 2017.12 | 2016.12 |
---|---|---|---|
매출액 | 155 | 194 | 187 |
영업이익 | 28 | 25 | 17 |
영업이익률(%) | 18.1% | 12.9% | 9.1% |
순이익(연결지배) | 34 | 38 | 22 |
순이익률(%) | 21.9% | 19.6% | 11.8%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