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하나증권은 26일 하이브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가를 기존 28만원에서 31만원으로 높여 잡았다. 올해 BTS가 컴백하고, 신성장 사업 부문의 매출 본격화로 이익률이 개선될 것이란 전망에서다. 전 거래일 종가는 25만1000원이다.
이 증권사 이기훈 연구원은 “최근 몇 달간 주가가 50% 넘게 상승하면서 단기적인 주가 레벨에 대한 고민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BTS의 매출이 온기 반영되는 내년에 300만명 안팎의 월드 투어 발표와 현재 1400원 수준의 환율이 지속된다면 연간 예상 영업이익은 5000억원에 근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최근 스트레이키즈, 제이홉, 블랙핑크 등의 북미 투어를 발표할 때마다 주가가 유의미하게 상승했다는 점도 하반기 BTS 투어 발표를 기대하게 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하이브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7253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 감소한 653억원으로 시장 기대치 835억원을 하회했다.
그는 “연간으로는 BTS의 군입대로 매출 비중이 20% 이하로 낮아졌음에도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면서 “다만, 콘서트 이익률 저하와 인건비 증가, 이타카관련 상각비 등이 반영되면서 이익은 부진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지난해는 BTS 완전체 공백 속에 미국·라틴 등 지역적 확대와 신성장 사업인 게임·AI 등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해 비용이 선제적으로 발생했다”면서 “올해는 BTS 컴백과 앞으로 2년 내 신인 남자 그룹 4팀이 데뷔 예정으로, 총 10팀의 남자 그룹 라인업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이타카에서 매니지먼트 강화를 통해 매년 대규모로 발생하는 상각 비용 규모도 축소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 증권사 이기훈 연구원은 “최근 몇 달간 주가가 50% 넘게 상승하면서 단기적인 주가 레벨에 대한 고민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BTS의 매출이 온기 반영되는 내년에 300만명 안팎의 월드 투어 발표와 현재 1400원 수준의 환율이 지속된다면 연간 예상 영업이익은 5000억원에 근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최근 스트레이키즈, 제이홉, 블랙핑크 등의 북미 투어를 발표할 때마다 주가가 유의미하게 상승했다는 점도 하반기 BTS 투어 발표를 기대하게 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하이브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7253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 감소한 653억원으로 시장 기대치 835억원을 하회했다.
그는 “연간으로는 BTS의 군입대로 매출 비중이 20% 이하로 낮아졌음에도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면서 “다만, 콘서트 이익률 저하와 인건비 증가, 이타카관련 상각비 등이 반영되면서 이익은 부진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지난해는 BTS 완전체 공백 속에 미국·라틴 등 지역적 확대와 신성장 사업인 게임·AI 등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해 비용이 선제적으로 발생했다”면서 “올해는 BTS 컴백과 앞으로 2년 내 신인 남자 그룹 4팀이 데뷔 예정으로, 총 10팀의 남자 그룹 라인업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이타카에서 매니지먼트 강화를 통해 매년 대규모로 발생하는 상각 비용 규모도 축소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하이브] 최신 분석 보고서
- “하이브, BTS 컴백에 성장 이어져…목표가↑”...06/17
- “하이브, 2Q부터 실적 개선…목표가 높여”-하...04/30
- “하이브, 1Q 하회…내년 BTS 투어 기대”-한투04/10
- [52주 최고가] 스튜디오드래곤 20.5%↑, 13개 종...02/20
- “하이브, 3Q 부합+내년 BTS 완전체 활동…목표...11/06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이브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방탄소년단, 여자친구, 세븐틴 등 아티스트가 속한 엔터테인먼트 기업 |
---|---|
사업환경 | ▷ 음악산업은 시대의 유행이나 흐름에 따라 상품의 주기가 매우 짧고 분야별 흥망이 거듭됨 ▷ 온라인·모바일 스트리밍 시장은 2010년대 중반 이후 급성장한 반면 실물음반시장은 규모가 축소될 전망 |
경기변동 | ▷ 음악산업은 경기변동에 따른 민감도는 작은 편 |
주요제품 | 앨범(음반, 음원 등) 34.56% MD 및 라이선싱(공식 상품(MD), IP라이선싱 등) 21.12% 공연(콘서트, 팬미팅 등) 18.35% 콘텐츠(영상콘텐츠, 영상출판물 등) 14.96% 광고, 출연료, 매니지먼트(광고수익, 출연료 수익 등) 7.08%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없음 |
실적변수 | ▷ 소속사 가수 및 연예인 흥행시 수혜 ▷ 음반 판매 증가시 수혜 ▷ 한류 열풍으로 국내 콘텐츠 판매 증가시 수혜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59.07% - 유동비율 345.14% - 당좌비율 199.53% - 이자보상배율 5.20% - 금융비용부담률 2.50% - 자본유보율 13,707.30% |
신규사업 | ▷ 자체 육성 및 M&A를 통한 신규 아티스트 확보 ▷ MD 및 라이선싱 사업 확대 ▷ 온라인 콘서트 등 공연방식 다변화 |
하이브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하이브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5,006 | 22,556 | 21,781 |
영업이익 | 216 | 1,840 | 2,956 |
영업이익률(%) | 4.3% | 8.2% | 13.6% |
순이익(지배지분) | 602 | 94 | 1,873 |
순이익률(%) | 12.0% | 0.4% | 8.6% |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