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한국투자증권은 10일 하이브에 대해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겠지만, BTS 월드투어 성과가 반영되는 내년 실적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1만원을 그대로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21만5000원이다.
하이브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5094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80% 늘어난 258억원으로, 시장 기대치 영업이익 483억원을 하회할 전망이다.
이 증권사 안도영 연구원은 “음반원 매출액이 줄고, 비교적 수익성이 낮은 공연 매출액이 늘며 영업이익률이 하락할 것”이라며 “음반원 매출액은 11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할 전망인데, 세븐틴 두개 유닛과 르세라핌 외에는 의미 있는 음반 발매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 연구원은 “제이홉(BTS), 세븐틴, TXT, 엔하이픈 등의 월드투어로 공연, 굿즈(MD) 매출액은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영업외단에서는 에스엠 주가 상승에 따른 지분평가이익이 반영되며 금융이익이 800억원대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BTS 부재에도 다른 라인업들이 성장하며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수익성은 하락했다는 평가다. 수익성이 가장 좋은 BTS가 실적에서 빠지고 신인 데뷔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는 내년에는 BTS의 월드투어 성과가 반영되고, 저연차 라인업들의 수익성도 개선되며 레버리지가 드러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그전까지는 수익성보다는 외형 확대에 집중해 BTS 외 라인업들의 성장을 확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짚었다.
이어 “BTS의 활동 재개로 내년 이익 증가 가시성이 높다는 점 외에도 공연·MD 규모 확대, 해외 라인업 증가, 게임·위버스 수익성 개선이라는 중장기적 투자포인트에 주목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날(9일) 주가가 7% 하락했는데, 1분기 실적 부진과 하이브를 카카오엔터 인수자로 거론한 지라시 영향”이라며 “1분기 실적 부진은 펀더멘털 문제가 아닌 음반 발매 스케줄의 문제로, 2분기에는 세븐틴, TXT, 보넥도 등 컴백으로 다시 역대급 실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카카오엔터 인수 역시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그는 “카카오엔터는 드라마·영화 제작, 웹툰·웹소설 플랫폼 등 음악 외 사업 규모가 크며, 영향력 있는 음악 레이블도 아이브 소속사인 스타십 정도로 하이브가 매수할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하이브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5094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80% 늘어난 258억원으로, 시장 기대치 영업이익 483억원을 하회할 전망이다.
이 증권사 안도영 연구원은 “음반원 매출액이 줄고, 비교적 수익성이 낮은 공연 매출액이 늘며 영업이익률이 하락할 것”이라며 “음반원 매출액은 11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할 전망인데, 세븐틴 두개 유닛과 르세라핌 외에는 의미 있는 음반 발매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 연구원은 “제이홉(BTS), 세븐틴, TXT, 엔하이픈 등의 월드투어로 공연, 굿즈(MD) 매출액은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영업외단에서는 에스엠 주가 상승에 따른 지분평가이익이 반영되며 금융이익이 800억원대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BTS 부재에도 다른 라인업들이 성장하며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수익성은 하락했다는 평가다. 수익성이 가장 좋은 BTS가 실적에서 빠지고 신인 데뷔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는 내년에는 BTS의 월드투어 성과가 반영되고, 저연차 라인업들의 수익성도 개선되며 레버리지가 드러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그전까지는 수익성보다는 외형 확대에 집중해 BTS 외 라인업들의 성장을 확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짚었다.
이어 “BTS의 활동 재개로 내년 이익 증가 가시성이 높다는 점 외에도 공연·MD 규모 확대, 해외 라인업 증가, 게임·위버스 수익성 개선이라는 중장기적 투자포인트에 주목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날(9일) 주가가 7% 하락했는데, 1분기 실적 부진과 하이브를 카카오엔터 인수자로 거론한 지라시 영향”이라며 “1분기 실적 부진은 펀더멘털 문제가 아닌 음반 발매 스케줄의 문제로, 2분기에는 세븐틴, TXT, 보넥도 등 컴백으로 다시 역대급 실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카카오엔터 인수 역시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그는 “카카오엔터는 드라마·영화 제작, 웹툰·웹소설 플랫폼 등 음악 외 사업 규모가 크며, 영향력 있는 음악 레이블도 아이브 소속사인 스타십 정도로 하이브가 매수할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하이브] 최신 분석 보고서
- “하이브, BTS 컴백에 성장 이어져…목표가↑”...06/17
- “하이브, 2Q부터 실적 개선…목표가 높여”-하...04/30
- “하이브, BTS 컴백에 목표가 상향”-하나02/26
- [52주 최고가] 스튜디오드래곤 20.5%↑, 13개 종...02/20
- “하이브, 3Q 부합+내년 BTS 완전체 활동…목표...11/06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이브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방탄소년단, 여자친구, 세븐틴 등 아티스트가 속한 엔터테인먼트 기업 |
---|---|
사업환경 | ▷ 음악산업은 시대의 유행이나 흐름에 따라 상품의 주기가 매우 짧고 분야별 흥망이 거듭됨 ▷ 온라인·모바일 스트리밍 시장은 2010년대 중반 이후 급성장한 반면 실물음반시장은 규모가 축소될 전망 |
경기변동 | ▷ 음악산업은 경기변동에 따른 민감도는 작은 편 |
주요제품 | 앨범(음반, 음원 등) 34.56% MD 및 라이선싱(공식 상품(MD), IP라이선싱 등) 21.12% 공연(콘서트, 팬미팅 등) 18.35% 콘텐츠(영상콘텐츠, 영상출판물 등) 14.96% 광고, 출연료, 매니지먼트(광고수익, 출연료 수익 등) 7.08%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없음 |
실적변수 | ▷ 소속사 가수 및 연예인 흥행시 수혜 ▷ 음반 판매 증가시 수혜 ▷ 한류 열풍으로 국내 콘텐츠 판매 증가시 수혜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59.07% - 유동비율 345.14% - 당좌비율 199.53% - 이자보상배율 5.20% - 금융비용부담률 2.50% - 자본유보율 13,707.30% |
신규사업 | ▷ 자체 육성 및 M&A를 통한 신규 아티스트 확보 ▷ MD 및 라이선싱 사업 확대 ▷ 온라인 콘서트 등 공연방식 다변화 |
하이브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하이브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5,006 | 22,556 | 21,781 |
영업이익 | 216 | 1,840 | 2,956 |
영업이익률(%) | 4.3% | 8.2% | 13.6% |
순이익(지배지분) | 602 | 94 | 1,873 |
순이익률(%) | 12.0% | 0.4% | 8.6% |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